
한국인 10명 가운데 3명이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지만, 반려동물이 집에 홀로 남겨지는 시간은 하루 평균 6시간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편 반려동물 양육비는 한 달 평균 19만원이 넘었고, 최근 2년간 평균 치료비는 100만원을 웃돌았습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오늘(29일) 공개한 '2025 한국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 현재 반려동물을 둔 가구는 591만 가구로 전년 말(585만 가구)보다 1.1%(6만 가구) 늘었습니다.
개인 기준으로 반려동물을 기르는 한국인은 1천546만명으로, 총인구의 29.9%에 이릅니다.
반려동물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사이 26.6%에서 26.7%로 0.1%포인트(p) 소폭 늘었습니다.
이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KB금융 자체 설문조사 등을 바탕으로 추산된 결과입니다.
455만 가구가 개, 137만 가구가 고양이를 기르고 있었으며, 전년보다 각 4만 가구, 2만 가구가 증가했습니다.
반려동물 가구의 80.1%는 하루 중 잠시라도 동물을 집에 혼자 두고 외출한다고 답했습니다. 반려동물이 홀로 남겨진 시간은 하루 평균 5시간 54분에 달합니다.
이들 가구가 반려동물을 위해 고정적으로 지출하는 양육비는 월평균 19만4천원 정도로, 2023년 조사 당시(15만4천원)와 비교해 4만원(26%) 늘었습니다.
동물 종류별로는 반려견을 둔 가구가 월 16만1천원, 반려묘를 둔 가구는 월 14만2천원을 썼습니다.
반려동물 양육비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사료비(35.1%)였고, 이어 간식비·건강보조식품비(22.5%)·배변패드 등 일용품(10.6%)·미용비(8.7%) 순이었습니다.
전체 반려동물 보유 가구의 70.2%는 최근 2년 내 반려동물 치료비를 지출한 경험도 있었습니다. 평균 치료비는 102만7천원으로, 2023년(57만7천원)보다 약 2배 뛰었습니다.
반려동물보험 가입률은 12.8%에 그친 가운데, '진료비 표준수가제 도입'(46.1%)이 반려동물보험 대중화를 위해 해결돼야 할 첫 번째 과제로 지목됐습니다.
반려동물 양육에 따른 애로사항(복수 응답)으로는 여행 시 곤란(39.1%), 비용(34.1%), 배설물·털 관리(33.9%) 등이 꼽혔습니다.
반려동물 보유 가구의 76%는 동물을 기르는 데 만족했고, 74.2%는 계속 반려동물을 기르겠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타인에게 반려동물 양육을 추천하겠다"는 의견은 전체의 49.4%로 절반에 못 미쳤습니다.
많이 기르는 반려견 품종 1·2위는 몰티즈(20.4%)·푸들(18.9%)이었고, 선호 반려묘는 코리안숏헤어(44.7%)·러시안블루(12.8%)·페르시안(9.6%)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